[네트워크] 방화벽 오픈 시 자주 사용하는 포트~80 443 8080 3389~()_network_-Ports frequently used when opening a firewall-++
+ 방화벽 오픈 시 자주 사용하는 포트~80 443 8080 3389~
1. 포트(port) 란?
- 포트(port)란 컴퓨터끼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상의 논리적 접속 위치이다. 널리 알려진 포트 번호에는 20번(FTP), 22번(SSH), 23번(telnet), 25번(SMTP), 53번(DNS), 80번(http), 110번(POP3), 143번(IMAP), 194번(IRC), 443번(https) 등이 있다.
2. 잘알려진 포트
21번 : FTP(File Transfer Protocol) : FTP 연결 시 인증과 컨트롤을 위한 포트
23번 : Telnet(Telecommunication Network) :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포트
25번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메일을 보낼 때 사용하는 포트
80번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포트
3. 등록된 포트 (특정 프로그램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값 으로 이해가 됨)
1433번 : MSSQL :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하부 언어(SQL)를 사용하기 위한 포트
3306번 : MySQL : SQL을 사용하는 공개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을 사용하기 위한 포트
3389번 : 원격 접속 : 원격 접속을 사용하기 위한 포트
8080번 : HTTP 대체 : HTTP 포트(80번)를 대체할 수 있는 포트
4. 방화벽 오픈시 자주 사용하는 포트
* 잘알려진포트
80 TCP UDP HTTP - 웹 페이지 전송 www 통신에 대한 요청-응답 프로토콜 (HyperText Transfer Protocol)
443 TCP HTTPS - SSL 위의 HTTP (암호화 전송) 보안 강화 www 통신 프로토콜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 등록된 포트
1433 TCP MS-SQL - Microsoft SQL Server에서 사용됨
1521 TCP Oracle DB - Oracle Database에서 사용됨
3306 TCP UDP MySQL - MySQL에서 사용됨
3389 TCP RDP - 원격 제어 프로토콜 (Remote Desktop Protocol)
3690 TCP SVN - 버전 관리 시스템인 서브버전(Subversio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출처 :
http://wiki.hash.kr/index.php/%ED%8F%AC%ED%8A%B8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