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프로토콜이란~프로토콜 개념~(쉽게 쉬운 이해)__-What is a protocol-++

 +프로토콜이란?(Protocol) : 쉽게 이해하기

- 개념 

* ( 일반적 개념 )

한 때 대중들이 정보통신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을 때에도 프로토콜이란 단어가 가끔 신문기사에 등장한적이 있었다. 대체로 외국의 국빈이 우리나라를 방문하였을 때 그 방문기사에 등장하던 프로토콜이란 단어는 국빈을 대접하는 의전 절차라는 의미로 쓰인다. 예를들어 외국원수의 공식방문시 우리나라에서는 국무총리나 외무부 장관이 기내에 들어가서 영접을 하고 난 후 의장대를 사열하고, 이어서 환영연설을 하고, 저녁에는 대통령과의 만찬이 있고 등등 방문객의 지위나 방문 형태에 따라서 그 프로토콜도 달라지게 된다.


프로토콜이란 단어를 사전에서 찾으면 위에 얘기한 외교상의 의례란 의미 외에도 의정서, 조약(안)으로 설명이 되어있다. 아무튼 프로토콜이란 단어속에는 어떤 경우이든지 간에 두 상대방이 있어 그 두 상대방간 합의된 약속이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국빈의 의전절차에도 피방문자가 지켜야 할 도리뿐만 아니라 방문객이 이에 따라 취해야 하는 행동 절차도 같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프로토콜이란 방문자와 피방문자 두 상대방의 행동양식에 대한 미리 정해진 약속으로 볼 수 있다.


방문객이 이렇게 하면 피방문객은 저렇게 하고,피방문객이 또 이렇게 하면 방문객이 거기에 대응하여 행동하는 등등 프로토콜은 외교관이 배우고 갖추어야 할 중요한 내용이 틀림없다.


* ( 통신에서의 개념 )

그러면 통신에 등장하는 프로토콜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왜 필요한가.


사실 통신에서 말하는 프로토콜은 엄밀히 말하면 통신 프로토콜이라고 앞에 통신을 반드시 붙여 말해야 한다. 그런데 어떤 사실을 얘기할 때 대주제가 통신인 경우 우리는 통신을 생략하고 보통 프로토콜이라고만 말하게 되고, 이 경우 듣는 사람이나 말하는 사람 모두 프로토콜은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하게 되는 셈이다.


이제 프로토콜이 통신 프로토콜의 생략형이라는 것은 분명해 졌다.


먼저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해 놓고 다음 얘기를 진행하기로 하자.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에는 앞에서 말한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개념이 그대로 들어있다. 통신이란 말에 이미 두 상대방이라는 개념이 배경에 놓여 있다. 상대방이 없는 통신이란 있을 수 없으므로, 통신 프로토콜 또한 당연히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두 상대방 사이의 약속이다.


약속은 약속인데 그럼 무슨 약속인가. 앞에서 말한 외교적인 프로토콜에서처럼 상대방을 예우하기 위한 약속이 아님은 분명하다. 통신은 공학이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예의가 아니고 통신의 목적을 경제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약속이다.


프로토콜이란 통신 프로토콜의 생략형으로 통신의 목적을 경제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약속을 의미한다.


출처 : 

http://huniv.hongik.ac.kr/~ginnie/communication/%C1%A4%BA%B8%C5%EB%BD%C503_%C7%C1%B7%CE%C5%E4%C4%DD.htm

댓글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