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virtualBox로 서버 생성 후 vs코드로 연동하여 배포하기~1. virtualBox로 local에 ubuntu서버 생성하기~(리눅스 우분투 로컬)_vscode remote server_--++

~1. virtualBox로 local에 ubuntu서버 생성하기~ (22번 포트로 로컬에 접속) 


#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로컬host에 서버 구현할 예정

[설계도]



* host와 myserver01을 똑같은 ip로 설정하는 바람에 통신이 구분이안되서 jdbc 오류 발생 x.x.x.x에서 한자리라도 다르면 괜찮음 엄청 고생함 (핑이 나가는건 자기자신을 호출했기때문에 가능했음) [오류에 대한 설계도]

1. virtual box 다운로드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2. 우분트 이미지 다운로드 

https://releases.ubuntu.com/22.04/

- 링크접속 > 밑으로 내려서 ubuntu-22.04.4-live-server-amd64.iso 설치


3. virtual box로 ubuntu 가상머신 생성 후 설정 

- 환경설정 > 입력 > 가상머신 > 호스트 키 조합 제거 후 컨트롤 + 알트 > 확인


- 도구 > 네크워크(가상인터페이스 생성)  > nat네트워크 만들기 192.168.15.0/24 dhcp 활성화 체크해제 > 적용


*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의 장치에 IP 주소와 기타 네트워크 구성 정보(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궁극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이 동적 할당은 각 장치의 수동 구성 필요성을 없애 네트워크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듭니다. 

DHCP 서버는 IP 주소 풀과 임대 기간을 관리하여 장치가 연결된 동안 유효한 네트워크 설정을 갖도록 합니다.


- 포트포워드 추가 (이름 지정 / 호스트포트 22 / 게스트 ip 192.168.15.101(ipv4 4자리) / 게스트 포트22 / 호스트ip 빈칸으로 나두면 로컬)

*** 현재 환경에서 호스트 ip는 내로컬pc 게스트ip는 우분투서버 

*** 일반적인 서버 환경에서는 (서버입장) 호스트 ip는 서버 / 게스트ip 없음 게스트는 가상을 말함


- 머신 > 새로만들기 > 이름 ubuntu01 > 버전 ubuntu 22.04 > 다음



- 8192 MB / cpu 2 다음 



- 50기가 다음 > 완료



- 저장소 >  컨트롤러 아래 cd 모양 선택 > 우측상단에 시cd 아이콘선택 > 다운받아둔 iso이미지 선택 > 시작 



-  try~~ 첫번째 선택 > english 선택 



- continue without updating > layout 한국어로 설정 done



- 우분투 서버(mini~)선택 > done 



- enpOs3  엔터 > Edit ipv4 



- ipv4 method : 메뉴얼 선택 


- edit enp0s ipv4 configuration :
서브넷 : 192.168.15.0/24 / addr : 192.168.15.101 / gatway : 192.168.15.1 / name server : 168.126.63.1(kt), 210.220.163.82(skt), 8.8.8.8(구글) 
> save 
* aadr 추후 서버 내에서 변경가능 


- done 


- 프록시 미설정 done 


- configure ubuntu archive mirror 설정 하기전 > ubuntu01 우클릭 > 설정 > 네트워크 > 어뎁터 1> nat에서 > nat 네트워크로 변경) 



- configure ubuntu archive mirror 를 진행하는 중 위에 부분을 실행했다면 아래화면에서 

try again now 선택 



- hit1, get2, get3 문구가 보이면 성공 > done 


- installer update available > continue widout updating (이건 순서가 살짝 다를수있음)



- guided storage cofiguration > done 



- storage cofiguration > done



- storage cofiguration > continue



- Profile setup : 

your name : user1 / you servers name : myserver01 / pick a username : user1 / passwrod : : 1111 > done



- upgrade to ubuntu pro > continue



-  ssh setup : 

install openSSH server 체크 > done



- featured server snaps > done



- install complete! : 

Reboot Now가 나올때 까지 잠시 대기 후 > Reboot Now 선택 


- FAILED 2개 뜨는거 무시 후 엔터 > end ssh host ~ 나오고 진행이 안되면 엔터 여러번 



- myserver01 login : user1 / passwrod : 1111 



- 명령어 입력 sudo apt-get update 


- 명령어 입력 sudo apt install net-tools vim nano git iputils-ping telnet openssh-server -y 



- vitual box 도구 > nat네트워크 >  포트포워딩 확인
프로토콜 tcp / 호스트ip 빈칸 / 호스트 포트 22 / 게스트 ip 192.168.15.101 / 게스트포트 22

- xshell로 ① 혹은 ② 접속 테스트

① 세션 등록하여 접속 

② 로컬쉘에서 접속


- ① 세션 등록 : 연결

이름 : ubuntu_user / 호스트 : localhost  / port 22 


- 사용자 인증 

사용자이름 : user1 / Password 체크 


- 수락 및 저장 



- Password 입력 


- 연결 성공 




- ② 로컬쉘에서 접속

- xshell 로컬쉘 접속 후(탭 +버튼 선택) > 비밀번호 입력 



- 명령어 입력 ssh user1@localhost > 접속완료


* 잡기상태에서 컨트롤 + 알트로 나올수있음 

* 호스트전용네트워크(내부통신망) 

* nat네트워크 공유기처럼 내부에서 외부와 통신할 때 내부ip를 외부ip에 접근이 가능한 ip로 변환시켜줌

* 포트포워드 호스트ip(공유ip 공유기)에서 게스트ip로 전달 될 때 (port로 매핑)

댓글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