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virtualBox로 서버 생성 후 vs코드로 연동하여 배포하기~3.연동된 vscode로 프로젝트 빌드하기~(리눅스 우분투 로컬)_vscode remote server_--++
~3. 연동된 vscode로 프로젝트 빌드하기~
1. 원격 연결
- vscode로 원격 server01에 원격 연결
2. 프로젝트 test build
# 설치한 gradle lib가 동작하지 않아서 CLI로 빌드
- cd 프로젝트명 > bash ./gradlew test (빌드테스트) > 오류발생 (db)
* 톰캣 오류 로그 확인 경로
cd /usr/local/lib/tomcat/logs/
3. 소스수정 (jdbc 연결 오류 해결하기)
#jdbc 연결안되면 root-context.xml url / user / password 확인하여 수정
- jdbc url = ipconfig ipv4 ip로 지정
# db가 없다고 하면 만들어주기
- mysql workbanch 접속
- mysql 세션접속 및 명령어 입력
create database webdb
use webdb
- 프로젝트 데이터 import
server import > load folder contents > export 받아놓은 dump 폴더(아래 다운로드 클릭) > 집어넣고 start import
- 다운로드 클릭
- 호스트(로컬pc)에서 mysql 동작중인지 확인
netstat -ano | findstr 3306
- server01에서 ping 테스트
cmd > ipconfig > ipconfig ipv4주소 확인 > ping 192.168.45.146 (아래화면 성공결과)
- server01에서 telnet으로 port 테스트 (아래 화면 성공결과)
telnet 192.168.45.146 3306
[수정 및 확인 사항 정리]
- jdbc 설정변경
- host pc에서 mysql 실행중인지 확인
- server01에서 telnet으로 host ip의 3306port가 잘붙는지 확인
- mysql 설정
mysql에 접근가능한 user생성 / database(webdb)생성 / use webdb (db사용) / data import
- 그밖에 오류 수정
jdbc까 되는상태이면 소스에서 오류나는 부분 주석처리하여 build test 하기
* 현재는 virtual box에 가상 ubuntu 서버를 생성한거고 데이터가 얼마안되서 상관없지만,
AWS 서버에 db를 설치하고 올려버리면 서버가 뻗을 수 있음
그래서 보통 db서버를 따로두고 역할을 달리함
4. 프로젝트 빌드
bash ./gradlew build (bash붙는 이유는 실행권한이 없다. 있으면 ./gradlew build하면됨)
- 성공할 때 까지 소스수정 후 빌드
cd springex-main
bash ./gradlew test (빌드테스트)
bash ./gradlew build (빌드)
* 실행권한 (gradlew 실행 시 bash로 실행하는게 귀찮으면 설정)
> 실행권한 부여하기
user1@myserver01:~/springex-main$ ls -l gradlew
-rw-rw-r-- 1 user1 user1 8070 Jul 25 03:39 gradlew
user1@myserver01:~/springex-main$ chmod u+x ./gradlew
user1@myserver01:~/springex-main$ ls -al ./gradlew
-rwxrw-r-- 1 user1 user1 8070 Jul 25 03:39 ./gradlew
> ./gradlew build 로 실행 테스트 > 성공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