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List ()

[AWS] AWS Route 53 테스트~맛보기~(아마존 클라우드 서버)_cloud computer virtual_-신촌 더조은 학원 AWS-++

AWS Route 53 테스트~맛보기~


* 도메인에 대한 그림 설명






1. Route53에서 도메인 검색 

- aws 콘솔 > 서비스 검색 > Route 53 > 대시보드 > 등록된도메인 > 도메인 등록 



- 도메인 이름 : lyglyg1212.com 아무거나 지정 (구매하고 결제 진행까지는 안함)

도메인 검색만해보기 



2. Route53 호스팅 생성  

- Route 53 > 호스팅 영역 > 호스팅 영역 생성 (내도메인한국의 도메인과 연결)


- 호스팅영역 구성 

설명 : 연습을 위한 도메인 

유형 : 퍼블릭 호스팅 영역

{ 퍼블릭 호스팅 영역 : 외부 인터넷용 / 프라이빗 : 내부망 (vpc내) }

태그 키 name / 값 domainPRA (식별과 관련)

> 호스트영역 생성 선택 


- 레코드 체크 시 우측 레코드 세부정보나옴 > 레코드 생성 선택



- 빠른 레코드 생성 

레코드 이름 : www 

유형 : a - ipv4 

값 172.31.15.157

TLT 테스트용으로 120으로 변경 > 레코드 생성 

* 172.31.15.157 = ec2 인스턴스의 프라이빗 ipv4 주소


3. Route53 레코드 테스트 

- 레코드 테스트 선택


- 레코드이름 www 입력 > 응답수신 


4. Route53 호스트에서 테스트 

- nslookup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dnsutils


# nslookup으로 dns server 테스트  

user1@myserver01:~$ nslookup 엔터 

> server ns-245.awsdns-30.com 엔터 

Default server: ns-245.awsdns-30.com

Address: 205.251.192.245#53

Default server: ns-245.awsdns-30.com

Address: 2600:9000:5300:f500::1#53

> www.lyglyg1212.com 엔터 

Server:         ns-245.awsdns-30.com

Address:        205.251.192.245#53


Name:   www.lyglyg1212.com

Address: 172.31.15.157


- 레코드생성 선택


- 레코드 이름 : web / 값 : 172.31.15.200 > 레코드 생성 선택


- www.으로 생성했던것 변경 > 레코드 유형 : cname / 값 : web.lyglyg1212.com


# nslookup 기존에 이어서 테스트 

> www.lyglyg1212.com 엔터 

Server:         ns-245.awsdns-30.com

Address:        205.251.192.245#53


www.lyglyg1212.com      canonical name = web.lyglyg1212.com.

Name:   web.lyglyg1212.com

Address: 172.31.15.200


5. Route53 레코드 삭제

- 삭제방법 : 추가한 레코드들 체크 > 레코드 삭제  




- 레코드 영역 삭제 







댓글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