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virtualBox로 서버 생성 후 vs코드로 연동하여 배포하기 ~6.개발서버에서 원격으로 웹서버 프로젝트 배포하기~(리눅스 우분투 로컬)_vscode remote server tomcat webserver_--++
~6.개발서버에서 원격으로 웹서버 프로젝트 배포하기~
1. 서버01에서 서버02(web서버)로 연결하기
- 우분투 서버01 시작
- 우분투 서버01에서 02로 접속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 공개키로 접근 시 비밀번호 입력 필요
2. 권한부여하여 비밀번호 체크 안하게 설정하기
- 서버1에서 2로 원격접속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 /etc/group에 user1확인
grep user1 /etc/group
- sudo 권한에 대한 수정
sudo visudo(서버02에서만 설정)
%sudo ALL=(ALL:ALL) ALL 에서
%sudo ALL=(ALL:ALL) NOPASSWD: ALL 로 변경
컨트롤X로 빠져나오기 > Y > 그다음에 엔터
- 원격 종료 명령어
exit
- 원격 종료 후 server01상태에서 톰캣 재실행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sudo /usr/local/lib/tomcat/bin/shutdown.sh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sudo /usr/local/lib/tomcat/bin/startup.sh
3. 서버01에서 서버02로 빌드한 war파일 보내기
- cd springex-main(프로젝트명) 이동
- war파일 서버2 홈으로 복사 (권한때문에 다이렉트로 못가서 홈으로 보냄) (이름변경)
scp -i ~/.ssh/id_rsa ./build/libs/springex-1.0-SNAPSHOT.war user1@192.168.15.102:~/app.war
- 복사 잘되었는지 확인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ls -l
4. 서버02내에서 war파일 이동하기
- war파일 이동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sudo mv app.war /usr/local/lib/tomcat/webapps
- 이동 확인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ls -l /usr/local/lib/tomcat/webapps
5. 서버02내에서 톰캣에 배포하기
- 톰캣 재실행 ( 재실행하면 /usr/local/lib/tomcat/webapps 경로에 war파일이 압축풀림 )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sudo /usr/local/lib/tomcat/bin/shutdown.sh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sudo /usr/local/lib/tomcat/bin/startup.sh
- 브라우저 localhost 접속하여 확인
http://localhost/app/todo/list
6. localhost 경로에 app 제거하는 방법
- 배포경로에 기존 파일 제거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sudo rm -rf /usr/local/lib/tomcat/webapps/*
scp -i ~/.ssh/id_rsa ./build/libs/springex-1.0-SNAPSHOT.war user1@192.168.15.102:~/ROOT.war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sudo mv ROOT.war /usr/local/lib/tomcat/webapps
ssh -i ~/.ssh/id_rsa user1@192.168.15.102 ls -l /usr/local/lib/tomcat/webapps
- 브라우저 localhost 접속하여 확인
http://localhost/todo/list
* 배포때 편한 툴 앤서블(Ansible) 이라는 소프트웨어가 있음
댓글
댓글 쓰기